2025년 2월 21일 미국 경제의 불안정성이 커지며 빅테크 기술주들이 일제히 급락했습니다. 특히 '매그니피센트7'(M7) 가운데 애플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경기 선행지수의 불안정성을 비롯한 주요 경제 지표들이 어떻게 미국의 기술주 시장에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각 기업별로 어떤 변동이 있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와 경기 불안
21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는 4.3%로 전월의 3.3% 대비 1.0%포인트 급등했습니다.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역시 3.5%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상승하며 199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수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심리적 압박을 가중시키며 경제적 불확실성을 증대시켰습니다.
미국 경제를 지탱하는 소비자들의 심리가 급격히 약화됨에 따라 '일단 던지고 보자'는 투매 심리가 확산되었습니다. 이는 기술주를 포함한 주요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더욱 키우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빅테크 기술주의 하락세
인공지능(AI) 혁명을 주도하는 M7 중 애플을 제외한 종목들이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테슬라는 4% 이상 하락했으며, 아마존과 알파벳(구글) 또한 각각 2% 넘게 하락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플랫폼스(페이스북) 역시 1%대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이와 같은 급락은 인플레이션 우려와 경기 불안정이 어떻게 기술주에 악영향을 미치는지 잘 보여줍니다.
미국 최대 보험사인 유나이티드헬스케어그룹은 7% 넘게 급락했습니다. 이는 진료비를 과다하게 청구해 미국 정부의 메디케어 예산을 확보한 의혹으로 법무부가 조사를 시작했기 때문으로, 이에 따라 대규모 투매가 발생했습니다.
AI 데이터 분석업체인 팔란티어 또한 미국 국방부가 매년 예산을 8%씩 삭감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5%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이는 연일 주가에 악영향을 미쳤습니다.
필수소비재의 상승세
이와 대조적으로 필수소비재 주식들은 소비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유지될 것이라는 분석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프록터앤드갬블, 존슨앤드존슨, 코카콜라, 맥도날드, 펩시코, AT&T, 버라이즌 등의 주가가 모두 상승했습니다. 이는 경기 침체기에도 필수소비재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미국 소비시장의 통찰력을 제공하는 월마트는 증권가 예상치에 미치지 못하는 수익 전망을 발표하며 경기 침체에 대한 공포를 더욱 가중시켰습니다.
애플의 선방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애플은 약보합으로 선방했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으로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진 덕분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미국에 수천억 달러를 투자할 것이라는 약속을 했다고 밝히며, 애플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주지사 모임에서 "애플의 팀 쿡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 집무실에 찾아와 수천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말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이러한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강조하는 자리에서 나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쿡 CEO가 멕시코에 있는 공장을 미국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약속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관세 부담을 피하고자 하는 애플의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하지만 애플은 아직까지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애플과 국제 무역 분쟁
애플은 현재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으로 인해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는 애플이 상당한 부담을 느끼게 만들었습니다. 애플은 자사 기기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에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관세 정책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중국은 미국의 조치에 맞서 애플의 앱스토어 정책을 조사하고 있어, 애플은 양국으로부터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고자 하는 애플의 노력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한편, 애플의 최대 협력사인 대만의 폭스콘은 이미 멕시코에서 대규모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확장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 역시 애플의 글로벌 전략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마트 실적 전망 부진이 촉발한 뉴욕증시의 하락 (0) | 2025.02.21 |
---|---|
도널드 트럼프 당선 이후 일론 머스크의 기업 가치 급등 (0) | 2025.02.20 |
메타 주가 상승세 멈춤과 뉴욕증시 소폭 상승 (0) | 2025.02.19 |
관세와 금리 인하 속도 지연 전망 속 NYSE 혼조세 (0) | 2025.02.12 |
트럼프 관세 예고에도 뉴욕증시 상승, 철강ㆍAIㆍ가상자산 강세 (2) | 2025.02.11 |
엔화 강세와 한국 경제, 강달러 방어막 역할 (0) | 2025.02.10 |
미국의 보편 관세 도입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0) | 2025.02.09 |
인플레이션 급등과 상호 관세 발표 영향으로 2025년 2월 7일 뉴욕증시 급락 (0) | 2025.02.08 |
2025년 2월 6일 혼조세를 보인 뉴욕증시 (0) | 2025.02.07 |
트럼프 관세 정책과 원/달러 환율 (1) | 2025.02.04 |
최근댓글